뇌사·사망자로부터 기증받은 조직을 수집·보관·가공·보관·유통하기 위하여
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인가를 받은 기관을 말하며,
당사 조직은행은 2021년 11월에 신경, 피부, 뼈, 연골, 근막, 건, 인대 총 7종의
조직을 가공 및 분배할 수 있는 설립허가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득하여,
운영 중에 있습니다.
인체조직
이식재
기증된 인체조직은 조직은행에서 환자 몸에 직접 들어가는 이식재로 가치 있게
탈바꿈됩니다.
조직 이식 시 이식거부반응의 주요 원인인 세포를 제거한 후 가공된 인체조직
이식재는 사고나 질병으로 인해 인체조직의 결손, 손상된 환자를 대상으로 신체
장애를 회복하거나, 화상, 골절 등 각종 질환으로 고통받고 있는 환자에게
소중하게 사용됩니다.
초임계 기술을 이용한 조직 가공 공정
조직이식 중요 3요소
Tissue Bank Point 01.
조직 적합성
두 조직 사이 존재하는 면역학적 유사성
결여되면 조직이식 시 거부반응
탈세포 최적화 (Decellularization)
Tissue Bank Point 02.
조직 생착력
공여된 조직의 ECM 함량 유지
조직 내 ECM, Cytokine 등 세포외 기질의 물리적 특성 보존 필요
Tissue Bank Point 03.
안전성
세포독성(세포에 특정한 독작용을 가져오는 정도)이 낮은 것
낮은 세포 독성으로 부작용 최소화 필요
당사의 조직은행에서 가공되어 공급되는 인체조직은 초임계 기술을 이용하여, 최적의 탈세포를 이끌어 내어, 최상의 조직으로 가공되어 환자에게 공급됩니다.